가자가자가자고 +2
"영포티" 부정적 의미로 각인된 계기
댓글
0
조회
583
2025-11-07 11:54
2017-18년
20대 여성과 연애하려는 중년 남성
20대 여성과 연애하려는 중년 남성


2020-
기존 부정적 의미 +
정치적 전략의 부작용 +
MZ처럼 마케팅 타겟 전략 (세대 일반화 프레이밍)
= 영포티



2030 남성, 여성 가르는 것은 정치적인 전략이었겠지만
4050 남초 커뮤의 반응이 박우성 평론가가 만들어낸
"영포티" 부정적 의미를 강화시킴.
예: 보베드림 같은 곳에서 20대 여성한테 번호 따였다는 40대 글
(인스타 dm 시대에)
결론은 젊게 사려는 긍정적인 의미의 영포티 단어가
부정적인 의미가 된 계기는
당시 40대였던 페미니스트 및 민주당 지지자인
박우성 평론가의 성찰로 시작되서
젊어 보이려고 하는 실패한 정치 PR에 탄생한 진보대학생 밈,
MZ처럼 세대 포괄 일반화 마케팅 전략으로 확대된게
지금의 짬통 영포티 밈이 된거임

1위
2위
3위

가자가자가자고